백일해는 백일해균이라는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증입니다. "백일" 동안 괴로운 기침으로 유명하며,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무시 해서는 안 되는 질병입니다. 오늘은 백일해 증상과 원인 및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백일해
1. 백일해, 어떤 질병일까?
- 원인: 백일해균 (Bordetella pertussis)
- 전파: 기침, 재채기, 가까운 거리 호흡기 비말을 통한 감염
- 잠복기: 4~21일 (평균 10~12일)
- 특징
- 기침: 초기에는 가벼운 기침, 점차 심해져 발작적 기침으로 변화 (1~2주 지속)
- "흡" 소리: 기침 후 **"흡"**하는 특징적인 소리 발생
- 구토, 얼굴 붉어짐, 눈 충혈 동반 가능성
- 장기간 지속: 2~4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많음
2. 백일해, 누구에게 위험할까?
- 특히 영유아에게 위험: 백일해균에 대한 면역력이 부족하여 사망률이 높음
- 무호흡, 폐렴, 뇌손상 등의 심각한 합병증 유발 가능성
- 면역력 약화된 사람: 노약자, 만성 질환자 등 면역력이 약한 경우 감염 위험 증가
- 백일해 백신 미접종: 백일해 백신 미접종 또는 면역 불충분 시 감염 위험이 높아짐
3. 백일해,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?
- 백일해 백신 접종: 백일해 예방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
- 생후 2, 4, 6 개월에 3회
- 보강 접종: 청소년, 성인 (면역 유지 위해)
- 임산부: 태아 보호를 위해 임신 중 백신 접종 권장
- 기침 예의 준수: 기침할 때 입과 코를 가리는 기침 예의 준수
- 손 씻기: 자주 손 씻기로 감염 예방
4. 백일해, 의심되면 즉시 병원 방문!
- 본인 또는 주변 사람이 백일해 증상 보이면 즉시 병원 방문
-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: 백일해는 치료가 가능하며, 빠른 진단 및 치료가 합병증 예방에 중요
- 백일해 진단 검사: 혈액 검사, 비인두 가래 검사 등
5. 백일해 기타
- 백일해 백신
- 백일해 백신 종류: DTaP, Tdap, Boostrix
- 백일해 백신 부작용: 대부분 경미한 부작용 (통증, 발적 등)
- 백일해 치료
- 항생제 투여: 백일해균을 죽이는 항생제 치료
- 증상 완화 치료: 기침 완화제, 진통제 등 증상 완화 치료
- 백일해 합병증
- 무호흡, 폐렴, 뇌손상, 경련 등 심각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
백일해는 백신 접종과 예방 조치를 통해 예방 가능한 질병입니다. 예방접종은 꼭 받으시고 기침이나 이상 증상이 있을 때는 무조건 병원을 방문하여 진찰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.
질병관리청
질병관리청
www.kdca.go.kr